-
TIL 2023.07.06내일배움캠프 2023. 7. 6. 19:26
나름대로 웹소켓에 대해서 이해를 해봤다.
정보가 틀릴 확률이 높으니 양해바랍니다.
기존의 HTTP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으로 보내야 서버가 응답을 했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이 없다면 응답도 없는 것이다. 단방향 통신이라고도 한다. 요청과 응답이 끝나면 연결도 끝난다.
웹소켓(WebSokets)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지속적인 연결을 제공하여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주로 실시간 데이터 변화가 필요한 채팅이나 멀티플레이어 게임에서 사용된다.
라고 이해했다.
그리고 값을 print문으로 찍어보는 대신 디버그를 활용하는 방법도 알았다.
VSCode: https://ssungkang.tistory.com/entry/Django-visual-studio-code-를-이용한-debug
[Django] visual studio code 를 이용한 debug
vs code 로 디버깅 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디버깅 하는 방법이야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저는 이전까지 확인하고 싶은 변수를 print 함으로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하지만 한계점
ssungkang.tistory.com
Pycharm: https://velog.io/@graceunji/pycharm-localhost-디버깅-설정-및-디버깅-하는-방법
Pycharm localhost 파이참 디버깅 설정 및 디버깅 하는 방법
점프 투 장고를 실습 도중 예제와 다르게 실행되는 부분이 있었음. 에러난김에 브레이크포인트 찍으며 디버깅이나 해보자 하고 찾아봤다.
velog.io
빨간점(브레이크 포인트)이 찍힌 코드에서 동작을 멈추고 어떤 정보들이 넘어 오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자주 애용해야겠다.
'내일배움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내일배움캠프 17주차 (0) 2023.07.07 TIL 2023.07.07 (0) 2023.07.07 TIL 2023.07.05 (0) 2023.07.05 WIL 내일배움캠프 16주차 (0) 2023.06.30 TIL 2023.06.30 (0) 20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