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L 2023.05.11내일배움캠프 2023. 5. 11. 20:28
깃허브 readme.md 를 작성해 보았다.
.md 는 마크다운(MarkDown) 문법을 사용한다.
마크다운이란?
마크다운 (Markdown)은 마크업 언어의 일종으로, 존 그루버(John Gruber)[1]와 아론 스워츠(Aaron Swartz)[2]가 만들었다. 온갖 태그로 범벅된 HTML 문서 등과 달리, 읽기도 쓰기도 쉬운 문서 양식을 지향한다. 그루버는 마크다운으로 작성한 문서를 HTML로 변환하는 Perl 스크립트도 만들었다.[3] 흔히 볼 수 있는 문서(파일명)은 "README.md", 파일의 확장자는 .md 또는 .markdown을 쓴다.[4]
마크다운 - 나무위키
하루패드에서 쓰이며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강조 문법이 추가되었다. 사용 방법은 == 강조 == 처럼 쓰면 된다. 어디서 본 것 같은데목차 기능이 추가되었다. 사용 방법은 [TOC]처럼 쓰면 된다
namu.wiki
라고 한다 ㅋ;
여튼 간단한 문법을 알아보자
# 개수로 글씨 크기를 정해줄 수 있다.
# h1 = 제목
## h2 - 부제목
### h3
#### h4
##### h5
###### h6
h6까지 지원한다.
4 개의 스페이스로 코드 블럭을 만들 수 있다.
코드 블럭 시작 print("Hi") 코드 블럭 끝
이렇게 작성하면
코드 블럭 시작
print("Hi")
코드 블럭 끝
이렇게 나온다.
여기서 한 줄씩 띄지 않는다면 전부 코드블럭으로 인식한다.
그 외에도 코드 블럭을 만드는 방법들
- <pre><code>{code}</code></pre> 이용방식
- 코드블럭코드("```") 을 이용하는 방법
표는 아래와 같이 만들 수 있다.
|제목|내용|설명| |------|---|---| |테스트1|테스트2|테스트3| |테스트1|테스트2|테스트3| |테스트1|테스트2|테스트3|
더 자세한 내용은
"Markdown Guide (https://www.markdownguide.org/)"
Markdown Guide
A free and open-source reference guide that explains how to use Markdown.
www.markdownguide.org
를 확인하자
'내일배움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내일배움캠프 9주차 (0) 2023.05.12 TIL 2023.05.12 (0) 2023.05.12 TIL 2023.05.10 (0) 2023.05.10 TIL 2023.05.09 (6) 2023.05.09 TIL 2023.05.08 (0)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