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L 2023.03.13내일배움캠프 2023. 3. 13. 20:47
오늘부터 AI 웹개발 백엔드 부트캠프가 시작되었다.
오전에 부트캠프가 어떻게 진행될 지 하는 OT를 가졌고 미니프로젝트가 발제되었다.
그 후 배정된 팀끼리 모여서 회의를 진행했다.
우리팀은 여행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모인 팀이었고
한 분을 제외 하고는 전부 비전공자여서 전공자이신 한 분이 팀장을 맡게 되었다.
미니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할 건지에 대한 S.A.를 작성해야 했는데,
다들 처음하는 일이라 어려움을 겪었다.
여차저차 와이어프레임도 만들고 역할을 배정해서 어떻게든 작성은 하게 되었다.
오후엔 git 과 github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git은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한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버전이란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나온 것이다
git이 없다면
- 변경 내역을 확인하기 어렵고
- 작업을 되돌리기 어렵고
- 협력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git을 이용하면
- 변경 내용을 기억하기 쉽고
- 필요한 작업을 되돌리기 쉽고
- 여러명의 코드를 쉽게 나누고 합치며 개발할 수 있다.
git이 관리하는 공간은 크게
- 작업 디렉토리: 버전 관리의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 스테이지: 다음 버전이 될 후보가 올라가는 공간
- 저장소: 버전이 만들어지고 관리되는 공간
이렇게 3 개로 나눌 수 있다.
작업 디렉토리에서 스테이지로 옮기는 법은 add
스테이지에서 저장소로 옮기는 법은 commit
github는 인터넷을 통해 git으로 관리한 프로젝트를 호스팅하는 서비스다.
개발자들의 sns로도 쓰인다고 한다.
맥에서 git은 터미널로 사용할 수 있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터미널 명령어를 가르쳐 주셨다.
cd(chage directory): 경로로 이동 (.. 상위폴더로 이동)
pwd: 현재 경로를 보여준다
ls: 현재 경로에 존재하는 파일 및 폴더를 보여준다
ls -al: 숨김 파일 및 폴더까지 모두 리스트형태로 보여준다
clear 창을 비운다
mkdir <폴더명>: 새로운 폴더 만들기
~: 홈 디렉토리(기본 명령어 경로)
vi <파일명>: vi 편집기로 편집하겠다
touch <파일명>: <파일명>을 가진 빈 파일 만들기
rm <파일명>: 지우기(폴더x)
cat <파일명>: <파일명>에 적힌 내용을 보여준다
vi 편집기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set nu/nonu: 앞에 숫자 붙이기/떼기
'a' 혹은 'i' 입력: 입력모드(insert)
'esc': 입력모드 빠져나오기
:w: 저장하기
:q: vi 편집기 닫기
:wq: 저장하고 닫기
:u: undo
윈도우에서는 한 줄을 비우고 저장해야 오류가 안난다.
다음은 git 명령어다
git init으로 .git 숨김폴더를 만들고
git add <파일명>: <파일명>을 스테이지에 올린다.
<파일명>대신 .을 입력하면 전체가 올라간다
git status: 현상태 보기
git commit: 스테이지에 올린 파일을 저장소에 저장한다. 입력 후 엔터 치면 메세지를 작성할 수 있다.
-m "msg" 하면 제목만 해서 바로 가능
git clean: Git 저장소에서 추적하지 않는 파일들(Untracked files)을 삭제해주는 명령어
git log: commit한 로그가 나온다
git push: github로 푸쉬
깃허브에 레파지토리를 만들고 깃폴더와 연동하면 업로드 된다.
후엔 git push로 가능
첫 날이라 어색하기도 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라 무얼 해야할지 모르겠다.
웹개발 종합반 다시 들으며 공부하려 했는데 그마저도 수강 종료돼서 불가능하다.
내일부턴 팀원들과 미니프로젝트를 다시 진행해보자
'내일배움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ILL 팀 미니프로젝트 KPT 회고록 (0) 2023.03.17 TIL 2023.03.17 (0) 2023.03.17 TIL 2023.03.16 (0) 2023.03.16 TIL 2023.03.15 (0) 2023.03.15 TIL 2023.03.14 (0) 2023.03.14